1,905 0 0 374 1 0 9년전 0

별 헤는 밤-윤동주 시집

• 민족적 저항시인, 윤동주 시인의 작품을 시(73편), 산문(4편), 동시(33편)로 나누어 총 110편의 작품을 수록했다. 윤동주 시인의 처녀작은 15세 때 쓴 시 <삶과 죽음>·<초 한 대>이며, 이 두 편의 수준이 상당한 것으로 미루어 습작은 이미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초기 시에서는 암울한 분위기와 더불어 동시에 깃들인 유년적 평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현실 파악 태도를 볼 수 있다.<겨울>·<조개껍질>·<버선본>·<햇빛·바람> 등이 있다. 후기 시로 볼 수 있는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에 쓴 시들은 일제 말기의 암흑기를 살아간 역사 감각을 지닌 독특한 자아성찰의 시세계를 보여준다. <서시>·<자화상>·<또 다른 고향>·<별 헤는 밤>·<쉽게 씌어진 시> 등이 있다. ..
• 민족적 저항시인, 윤동주 시인의 작품을 시(73편), 산문(4편), 동시(33편)로 나누어 총 110편의 작품을 수록했다.

윤동주 시인의 처녀작은 15세 때 쓴 시 <삶과 죽음>·<초 한 대>이며, 이 두 편의 수준이 상당한 것으로 미루어 습작은 이미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초기 시에서는 암울한 분위기와 더불어 동시에 깃들인 유년적 평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현실 파악 태도를 볼 수 있다.<겨울>·<조개껍질>·<버선본>·<햇빛·바람> 등이 있다.

후기 시로 볼 수 있는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에 쓴 시들은 일제 말기의 암흑기를 살아간 역사 감각을 지닌 독특한 자아성찰의 시세계를 보여준다.
<서시>·<자화상>·<또 다른 고향>·<별 헤는 밤>·<쉽게 씌어진 시> 등이 있다.

윤동주의 시는 한마디로 어두운 시대를 살면서도 자신의 명령하는 바에 따라 순수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내면의 의지를 노래하였다.
그의 시는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내용을 서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인간과 우주에 대한 깊은 사색,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진실한 자기성찰의 의식이 담겨 있다.
윤동주(尹東柱)
1917∼1945.

1917년 12월 만주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아버지 윤영석(尹永錫)과 어머니 김룡(金龍)의 맏아들로 출생하여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다. 아명은 해환(海煥).
1934. 12. 24.
<초 한대>·<삶과 죽음>·<내일은 없다>등 3편의 시를 쓰다.
이는 오늘날 찾아 볼 수 있는 윤동주의 최초 작품이다.
1935. 10.
숭실학교 YMCA 문예부에서 내던 『숭실활천』제15호에 <공상>이 실려 그의 시가 처음으로 활자화.
1936. 11.-12.
간도 연길에서 발행되던『카톨릭 소년』에 동시<병아리(11월호)>·<빗자루(12월호)>를 발표.
1937.
『카톨릭 소년』에 동시<오줌싸개 지도(1월호)>·<무얼 먹고 사나(3월호)>·<거짓부리(10월호)>를 발표.
1939.
조선일보 학생란에 산문<달을 쏘다(1.23)>, 시<유언(2.6)>·<아우의 인상화(10.17)> 발표.
1939. 3.
동시「산울림」을 『소년』3월호에 발표.
이 무렵 릴케, 발레리, 지드 같은 작가들의 작품을 탐독하며, 프랑스어를 독습한다.
1941. 6. 5.
연희전문학교 『문우』지에 <우물속의 자화상>·<새로운 길>을 발표.
1941. 12. 27.
연희전문학교 졸업 기념으로 19편의 작품을 모아 자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77부 한정판으로 출간하려 했으나 당시 흉흉한 세상을 걱정한 주변인들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한다.
시집을 3부 작성하여 한 부는 자신이 가지고, 이양하 선생과 정병욱에게 1부씩 증정한다.
본래 이 자선시집의 제목은 『병원』이었으나 <서시>를 쓴 후 바꾸었다.
"병원"은 병든 사회를 치유한다는 상징적인 의미였다.
1942. 1. 24.
고국에서 쓴 마지막 작품이 된 시 <참회록>을 쓰다.
1942. 4. 2.
도쿄 릿쿄 대학 문학부 영문과 선과에 입학.
1942. 4.-6.
<쉽게 씌어진 시> 등 이 때 쓴 시 5편을 서울의 친구에게 보내다.
오늘날 볼 수 있는 윤동주의 마지막 작품이다.
1942. 10. 1.
교토 도시샤 대학 영문학과 선과에 편입.
1944. 3. 31.
교토 지방재판소에서 ‘독립운동’ 죄목으로 2년형을 언도 받다.
1945. 2. 16.
큐슈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사망.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